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2025년 현재 만성 B형간염 완치제의 개발현황"

by 영한아빠 2025. 3. 19.

 

만성 B형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이 감염된 질환으로, 간경변과 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현재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최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B형간염 완치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2025년 현재 몇 가지 유망한 신약들이 개발 단계에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성 B형간염 완치제의 최신 개발 동향과 연구 성과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흰색 알약

1. 만성 B형간염 완치가 어려운 이유

B형간염 완치를 위한 신약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바이러스의 특성상 완치가 쉽지 않은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cccDNA의 존재

B형간염 바이러스(HBV)는 간세포의 핵 내부에서 cccDNA(공형 환상 DNA)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원천이 됩니다. 현재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등)는 HBV의 증식을 억제하지만, cccDNA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합니다.

2) 면역 회피 기전

HBV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회피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면역 세포가 바이러스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며, 일부 환자들은 면역력이 낮아 바이러스 제거가 더욱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3) 기존 치료제의 한계

현재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수치를 낮추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치료를 중단하면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완치보다는 장기적인 바이러스 억제가 주된 치료 목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5년 현재,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완치를 목표로 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2. 2025년 현재 개발 중인 만성 B형간염 완치제

1) RNA 간섭(RNAi) 치료제

RNA 간섭(RNAi) 치료제는 HBV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하여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기존의 항바이러스제와 달리, RNAi 치료제는 HBV의 단백질 생산을 직접 차단하여 cccDNA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RNAi 치료제 후보

  • 비르 Biotechnology(Vir Biotechnology) - VIR-2218
    • HBV 표면항원(HBsAg) 감소 효과 확인
    • 기존 항바이러스제와 병용 시 효과 증대
  • 알로니람(Alnylam) - ALN-HBV02
    • RNAi 기술을 활용한 신약 후보
    • HBsAg 제거를 통해 면역 반응 활성화

이러한 RNAi 치료제는 기존 항바이러스제와 병용 치료 시 완치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2) 면역 조절 치료제

B형간염을 완치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면역 조절 치료제는 인체의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여 바이러스를 자연적으로 제거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면역 조절 치료제 후보

  •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 JNJ-6379
    • HBV 감염 세포를 공격하도록 면역 세포 활성화
    • 기존 항바이러스제와 병용하여 치료 효과 증가
  • 로슈(Roche) - RG7854
    • HBV 감염 세포를 제거하는 면역 반응 강화

면역 조절 치료제는 기존의 항바이러스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완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항체 치료제

항체 치료제는 HBV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치료법입니다. 기존 항바이러스제보다 강력한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항체 치료제 후보

  •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 BI-1808
    • HBV 감염 세포를 제거하는 특이 항체 활용
  • GSK(GlaxoSmithKline) - GSK3228
    •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기전을 차단하여 면역 반응 촉진

항체 치료제는 면역 조절 치료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더욱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만성 B형간염 완치제 개발의 전망

현재까지 완치제로 승인된 치료제는 없지만, RNA 간섭 치료제, 면역 조절 치료제, 항체 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법이 병용 요법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1) 2025년 임상 시험 단계별 현황

  • 단독 치료보다는 병용 요법이 효과적
    • 대부분의 신약 후보들은 기존 항바이러스제(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등)와 함께 사용될 경우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 HBsAg 소실을 목표로 한 연구 증가
    • HBsAg이 완전히 소실되면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될 가능성이 낮아짐.
  • 2027~2030년까지 일부 신약 출시 가능성
    • 현재 임상 2상 및 3상 진행 중인 신약들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경우, 향후 5~10년 내 B형간염 완치를 목표로 한 치료제가 시장에 출시될 가능성이 있음.

2) 완치제 개발을 위한 도전 과제

  • cccDNA 완전 제거: 기존 치료제는 cccDNA를 제거하지 못함.
  • 바이러스 변이 대응: HBV는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보이므로, 변이에 따른 치료제 개발이 필요함.
  • 접근성과 비용 문제: 새로운 치료제가 출시되더라도 고가의 치료비용이 예상되므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

결론

2025년 현재, 만성 B형간염 완치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RNA 간섭 치료제, 면역 조절 치료제, 항체 치료제 등이 유망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임상 2상 및 3상 단계에 있는 신약들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경우, 향후 5~10년 내 B형간염 완치제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은 정기적인 치료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서 최신 치료법의 발전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B형간염 완치의 시대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